(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의 단어: 3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0개 🦄세 글자: 34개 네 글자:17개 모든 글자:82개

  • 고요 : (1)-ㄴ가요.
  • 과니 : (1)(구어체로) ‘-ㄴ고 하니’가 줄어든 말.
  • 께네 : (1)‘-니까’의 방언
  • 다고 : (1)앞 절의 일을 뒤 절 일의 까닭이나 근거로 듦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2)흔히 속담과 같은 관용구를 인용하면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3)해할 자리에 쓰여,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청자에게 강조하여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4)해할 자리에 쓰여, ‘너의 말이나 생각이 이런 것이냐?’ 하는 뜻으로 묻는 데 쓰는 종결 어미. 빈정거리거나 부정하는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 (5)해할 자리에 쓰여, 마음속에 가졌던 어떤 의문의 답이 의외로 별것이 아니었을 때 그 의문을 그대로 보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의문이나 긴장 또는 걱정이 해소되었다는 뜻이 암시된다. (6)간접 인용절에 쓰여, 어미 ‘-ㄴ다’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
  • 다나 : (1)(구어체로) 간접 인용절에 쓰여, 인용되는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거나 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인용문의 주어나 인용 동사는 생략되고 인용절만 남는다.
  • 다네 : (1)하게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친근감이나 감탄, 자랑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2)‘-ㄴ다고 하네’가 줄어든 말.
  • 다는 : (1)‘-ㄴ다고 하는’이 줄어든 말.
  • 다니 : (1)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현재 주어진 어떤 사실을 깨달으면서 놀람ㆍ감탄ㆍ분개 따위의 감정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뒤에는 주로 그 일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문장이 온다. (2)‘-ㄴ다고 하다니’가 줄어든 말. (3)‘-ㄴ다고 하니’가 줄어든 말. (4)해라할 자리에 쓰여,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5)‘-ㄴ다고 하니’가 줄어든 말.
  • 다만 : (1)‘-ㄴ다마는’의 준말.
  • 다며 : (1)‘-ㄴ다면서’의 준말. (2)‘-ㄴ다면서’의 준말. (3)‘-ㄴ다면서’의 준말.
  • 다면 : (1)어떠한 사실을 가정하여 조건으로 삼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2)‘-ㄴ다고 하면’이 줄어든 말.
  • 다손 : (1)앞말이 나타내는 상황이 사실임을 인정하여 양보하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미 ‘-ㄴ다’에 보조사 ‘손’이 결합한 말이다.
  • 다오 : (1)하오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친근하게 가르쳐 주거나 자랑하는 따위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2)‘-ㄴ다고 하오’가 줄어든 말.
  • 다이 : (1)‘-ㄴ다’의 방언
  • 다지 : (1)해할 자리에 쓰여, 들어서 알고 있거나 이미 전제되어 있는 어떤 사실에 대하여 다시 확인하거나 묻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2)‘-ㄴ다고 하지’가 줄어든 말.
  • 단다 : (1)해라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친근하게 가르쳐 주거나 자랑하는 따위의 뜻이 섞여 있다. (2)‘-ㄴ다고 한다’가 줄어든 말.
  • 대니 : (1)‘-ㄴ다니’의 방언
  • 대도 : (1)‘-ㄴ다고 하여도’가 줄어든 말.
  • 대서 : (1)‘-ㄴ다고 하여서’가 줄어든 말.
  • 대야 : (1)‘-ㄴ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
  • 대요 : (1)(구어체로) 해요할 자리에 쓰여, 어미 ‘-어요’의 뜻에 더하여 알고 있는 것을 일러바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어린이들의 말에 쓴다. (2)‘-ㄴ다고 해요’가 줄어든 말.
  • 댄다 : (1)해라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친근하게 가르쳐 주거나 자랑하는 따위의 뜻이 섞여 있다. ⇒규범 표기는 ‘-ㄴ단다’이다.
  • 댔자 : (1)‘-ㄴ다고 하였자’가 줄어든 말.
  • 뎁쇼 : (1)합쇼할 자리에 쓰여, 현재의 사실을 서술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하인이나 서울의 장사치들이 주로 썼다.
  • 디라 : (1)-은 것이다.
  • 디면 : (1)-은 것 같으면.
  • 새려 : (1)‘예상되는 해당 사실은 더 말할 것도 없고 그만 못한 것까지도’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졔고 : (1)-구나.
  • 즉슨 : (1)(예스러운 표현으로) ‘ㄴ즉’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2)(예스러운 표현으로) ‘-ㄴ즉’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지고 : (1)(예스러운 표현으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느낌을 강조하거나 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2)(예스러운 표현으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이미 이루어진 상황에 대한 느낌을 강조하거나 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지라 : (1)(예스러운 표현으로) 앞 절의 상황이나 상태가 뒤 절의 행위나 상황에 대하여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2)이미 이루어진 앞 절의 상황이나 상태가 뒤 절의 행위나 상황에 대하여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커녕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ㄴ’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니 : (1)-하느니.
  • 다 : (1)-한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ㄴ(으)로 끝나는 단어 (1개) : ㄴ ...
ㄴ(으)로 끝나는 단어는 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ㄴ(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 단어는 3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